레이블링 설계서(Labeling Design Document)
레이블링 설계서는 웹사이트나 애플리케이션의 정보 구조를 명확하게 설명하는 데 사용되는 텍스트를 정의하는 문서입니다. 이는 사이트나 앱에서 각 섹션, 버튼, 메뉴 등이 어떤 이름으로 표시되어야 하는지, 어떤 정보를 제공하는지를 정의합니다.
언제 업무에 적용하는지
웹사이트나 앱의 UI/UX 디자인 과정, 특히 정보 구조를 설계하거나 개선할 때 이를 적용합니다.
주의할 점
레이블링은 사용자가 웹사이트나 애플리케이션에서 정보를 쉽게 찾고 이해할 수 있도록 돕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직관적이고 일관성 있는 레이블을 사용해야 합니다.
산출물 또는 보고서 등
산출물로는 레이블링 설계서가 있습니다. 이 문서에는 사이트나 앱의 모든 레이블 및 해당 레이블이 표시하는 내용이 포함됩니다.
작성 예시
예를 들어, 온라인 쇼핑몰 앱의 레이블링 설계서를 작성한다고 가정해봅시다.
홈: 사용자가 처음 앱에 접속했을 때 보게 될 페이지
카테고리: 제품을 분류하는 섹션 (예: 의류, 가전제품, 식품 등)
장바구니: 사용자가 구매하려는 제품을 임시로 저장하는 섹션
마이페이지: 사용자의 개인 정보, 주문 내역 등을 확인할 수 있는 섹션
검색: 사용자가 특정 제품을 찾을 수 있도록 돕는 기능
로그인/로그아웃: 사용자의 로그인 상태를 관리하는 버튼
각 레이블이 어떤 역할을 하는지, 어떤 정보를 제공하는지를 명확하게 정의하면 됩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웹사이트나 앱을 쉽게 이해하고 필요한 정보를 빠르게 찾을 수 있게 됩니다.
네비게이션 시스템 설계도(Navigation System Design)
네비게이션 시스템 설계도는 웹사이트나 애플리케이션의 정보 구조를 시각적으로 표현한 것입니다. 이는 사용자가 웹사이트나 애플리케이션 내에서 특정 정보나 기능에 어떻게 접근할 수 있는지를 명확하게 보여줍니다.
언제 업무에 적용하는지
웹사이트나 애플리케이션의 UI/UX 디자인 과정에서 정보 구조를 명확하게 이해하고 구성하는 단계에서 이를 적용합니다.
주의할 점
네비게이션 시스템은 사용자의 이해와 웹사이트나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칩니다. 따라서 직관적이고 일관성 있는 네비게이션 구조를 만들어야 하며, 사용자의 이용 경험을 최대한 고려해야 합니다.
산출물 또는 보고서 등
산출물로는 네비게이션 시스템 설계도가 있습니다. 이 설계도는 웹사이트나 애플리케이션의 각 페이지나 기능이 어떻게 연결되어 있는지, 사용자가 어떻게 정보를 탐색할 수 있는지를 보여줍니다.
작성 예시
예를 들어, 온라인 쇼핑몰 앱의 네비게이션 시스템 설계도를 작성한다고 가정해봅시다.
홈 페이지: 사용자가 앱을 처음 실행했을 때 접근하는 페이지
카테고리: 각 제품 카테고리로 이동하는 링크
장바구니: 사용자의 장바구니로 이동하는 링크
마이페이지: 사용자의 개인 페이지로 이동하는 링크
카테고리 페이지: 제품을 카테고리별로 보여주는 페이지
제품 상세: 각 제품의 상세 정보를 보여주는 페이지로 이동하는 링크
제품 상세 페이지: 특정 제품의 상세 정보를 보여주는 페이지
장바구니 추가: 제품을 장바구니에 추가하는 기능
장바구니 페이지: 사용자가 추가한 제품을 보여주는 페이지
결제: 제품을 구매하는 페이지로 이동하는 링크
'인포메이션 아키텍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산출물 - 검색 시스템 설계서, 화면 디자인 설계서 (0) | 2023.06.19 |
---|---|
산출물 - 정보구조도, 정보흐름 전략 설계서 (0) | 2023.06.15 |
인포메이션 아키텍처 평가 방법론 - 사용성 테스트, 개선 방안 제안 보고서 (0) | 2023.06.15 |
정보 구조 설계, 화면 구조 설계 (0) | 2023.06.15 |
STP 분석기법, SWOT 분석기법 (1) | 2023.06.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