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성 테스트(Usability Testing)
사용성 테스트는 제품이나 서비스를 실제 사용자가 사용하는 상황을 관찰하거나 사용자에게 직접 사용해보게 하여 사용자 경험(UX)와 제품의 사용성을 평가하는 방법입니다.
언제 업무에 적용하는지
제품 또는 서비스의 초기 프로토타입이 만들어졌을 때, 또는 기존 제품의 사용성을 개선하려 할 때 사용성 테스트를 진행합니다.
주의할 점
테스트 참가자의 선택이 제품의 실제 타겟 사용자를 대표할 수 있도록 해야하며, 테스트는 중립적인 환경에서 이루어져야 합니다. 또한, 참가자의 행동과 반응에 대한 해석은 주관적인 의견이 아니라 데이터에 근거해야 합니다.
산출물 또는 보고서 등
사용성 테스트의 결과는 테스트 보고서, 사용자 피드백, 개선 사항 목록 등으로 정리될 수 있습니다.
작성 예시
예를 들어, 새로운 웹사이트의 사용성 테스트를 계획한다면:
테스트 목표 설정: 웹사이트의 주요 기능이 사용자에게 직관적인지 테스트
참가자 선정: 웹사이트의 타겟 사용자와 유사한 참가자 선정
테스트 시나리오 작성: 참가자가 웹사이트 내에서 수행할 태스크 정의 (예: 상품 검색, 구매, 리뷰 작성 등)
테스트 진행: 참가자에게 테스트 시나리오 수행 요청하고, 그 과정을 관찰
테스트 결과 분석: 참가자의 행동, 문제점, 개선점 등을 정리하고 보고서 작성
개선 방안 제안 보고서(Improvement Proposal Report) 개선 방안 제안 보고서는 현재 시스템, 프로세스, 제품 등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해결책을 제시하는 문서입니다.
언제 업무에 적용하는지 제품이나 서비스의 성능 개선이 필요하거나, 사용자 피드백, 사용성 테스트 결과 등을 통해 문제점이 확인될 때 개선 방안을 제안하는 보고서를 작성합니다.
주의할 점 제안하는 개선 사항이 실제로 실행 가능하며 비즈니스 목표나 사용자 요구를 충족시키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또한, 제안하는 개선 사항의 효과를 측정할 수 있는 지표를 설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산출물 또는 보고서 등 산출물로는 개선 방안 제안 보고서가 있으며, 이 보고서에는 문제점 분석, 개선 방안, 실행 계획, 예상 효과 등이 포함될 수 있습니다.
작성 예시 예를 들어, 사용성 테스트를 통해 웹사이트의 검색 기능에 문제가 있다는 것을 확인했다면 다음과 같이 개선 방안 제안 보고서를 작성할 수 있습니다:
- 문제점 분석: 사용성 테스트 결과, 사용자들이 웹사이트의 검색 기능을 이해하기 어렵다는 피드백이 많았다. 검색 결과의 정확도도 떨어진다.
- 개선 방안 제안: 검색 UI를 더 직관적으로 개선하고, 검색 알고리즘을 개선하여 검색 결과의 정확도를 높인다.
- 실행 계획: 디자인팀과 개발팀에게 개선 작업을 요청하고, 1달 내로 개선 작업을 완료한다.
- 예상 효과: 검색 기능의 사용성이 개선되어 사용자 만족도가 향상되며, 검색을 통한 구매 전환율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Improvement Proposal Report)
개선 방안 제안 보고서는 현재 시스템, 프로세스, 제품 등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해결책을 제시하는 문서입니다.
언제 업무에 적용하는지
제품이나 서비스의 성능 개선이 필요하거나, 사용자 피드백, 사용성 테스트 결과 등을 통해 문제점이 확인될 때 개선 방안을 제안하는 보고서를 작성합니다.
주의할 점
제안하는 개선 사항이 실제로 실행 가능하며 비즈니스 목표나 사용자 요구를 충족시키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또한, 제안하는 개선 사항의 효과를 측정할 수 있는 지표를 설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산출물 또는 보고서 등
산출물로는 개선 방안 제안 보고서가 있으며, 이 보고서에는 문제점 분석, 개선 방안, 실행 계획, 예상 효과 등이 포함될 수 있습니다.
작성 예시
예를 들어, 사용성 테스트를 통해 웹사이트의 검색 기능에 문제가 있다는 것을 확인했다면 다음과 같이 개선 방안 제안 보고서를 작성할 수 있습니다:
문제점 분석: 사용성 테스트 결과, 사용자들이 웹사이트의 검색 기능을 이해하기 어렵다는 피드백이 많았다. 검색 결과의 정확도도 떨어진다.
개선 방안 제안: 검색 UI를 더 직관적으로 개선하고, 검색 알고리즘을 개선하여 검색 결과의 정확도를 높인다.
실행 계획: 디자인팀과 개발팀에게 개선 작업을 요청하고, 1달 내로 개선 작업을 완료한다.
예상 효과: 검색 기능의 사용성이 개선되어 사용자 만족도가 향상되며, 검색을 통한 구매 전환율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인포메이션 아키텍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산출물 - 레이블링 설계서, 네비게이션 시스템 설계도 (0) | 2023.06.15 |
---|---|
산출물 - 정보구조도, 정보흐름 전략 설계서 (0) | 2023.06.15 |
정보 구조 설계, 화면 구조 설계 (0) | 2023.06.15 |
STP 분석기법, SWOT 분석기법 (1) | 2023.06.15 |
프로파일링, 사용자 관찰, 7C에 의한 컨텐츠 분석법, 컨텐츠 성격에 따른 분석법 (1) | 2023.06.08 |